반응형
이사와 주거 이전은 청년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이에 따라 서울시와 경기도 등 여러 지자체에서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이사비 및 부동산 중개보수비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서울시와 경기도의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반응형
서울시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
<사업 개요>
- 사업명: 2025년 청년 부동산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
- 지원대상: 2023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하거나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전입신고를 완료한 만 19~39세 청년 가구
- 지원금액: 최대 40만 원 한도 내 실비 지원 (생애 1회)
- 지원내용: 부동산 중개보수비 및 이사비 (개별 신청 가능)
- 신청기간: 2025년 4월 1일(화) 10:00 ~ 4월 14일(월) 18:00
- 선정방법: 사회적 약자 및 주거취약청년 우선 선발 후 소득 낮은 순으로 선정
- 지급방법: 개인별 계좌 입금
< 신청 자격 요건>
- 연령: 2025년 기준 만 19~39세 (1985.1.1.~2006.12.31. 출생)
- 소득: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- 기타: 세대주와 임대차계약서상 임차인은 신청자 본인이어야 함
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경기도 청년 이사비 및 중개보수비 지원사업
<사업 개요>
- 사업명: 2024년 청년 이사비 및 중개보수비 지원사업
- 지원대상: 2024년 1월 1일 이후 경기도로 전입한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
- 지원금액: 1인 최대 25만 원 (이사비 및 중개보수비 포함)
- 지원내용: 이사비(운반비, 포장비) 및 부동산 중개보수비 지원
- 신청기간: 1차: 2024년 4월 8일(월) 10:00 ~ 5월 3일(금) 17:00
- 신청방법: 온라인 신청 (잡아바 어플라이 통합접수시스템)
< 신청 자격 요건>
- 연령: 만 19~39세
- 소득: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- 주거조건: 거래금액 2억 원 이하의 전·월세 주택에 거주
- 기타: 주민등록등본의 세대주 및 임대차 계약서의 임차인은 청년 본인이어야 함
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📝 신청 시 유의사항
- 신청자격 충족 여부 확인: 연령, 소득, 주거조건 등 신청 자격을 꼼꼼히 확인하세요.
- 서류 준비: 주민등록등본, 임대차계약서,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세요.
- 신청 기간 준수: 각 지자체별로 신청 기간이 다르므로, 해당 기간 내에 신청을 완료하세요.
- 지급 방식 확인: 지급 방식(계좌 입금 등)과 지급 시기를 확인하여, 예산 소진 전에 신청하세요.
청년 이사비 지원사업은 주거 이전 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입니다. 각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과 신청 자격이 다르므로, 본인의 상황에 맞는 지원사업을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알면도움되는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살찌는 술 순위 TOP 7 – 알면 멀리하게 되는 고칼로리 술 리스트 (1) | 2025.04.13 |
---|---|
계절을 거스르는 순백의 선물 4월의 눈/ 봄에 눈이 오는 이유 (1) | 2025.04.13 |
직장인 점심 도시락/ 상하지 않는 메뉴 추천과 보관 TIP (0) | 2025.04.13 |
무한도전 20주년! 무도 마라톤 ! < 모든 예매 정보, 레이스팩 구성 > (1) | 2025.04.13 |
4월 14일 블랙데이의 유래/ 왜 하필 짜장면을 먹을까? (1) | 2025.04.13 |